농도

오늘은 농도에 대해 포스팅하도록 하겠습니다.

농도는 방사선의 강도가 얼마나 분포해 있는지에 의해 결정이 되며, 그 외에도 여러 인자들이 있습니다. 그런 농도에 대해서 오늘 간단히 설명하도록 하고, 마지막에 나오는 '특성곡선'과 '특성치'에 대해서는 다음 포스팅에서 조금 더 자세히 알아보려 합니다.

 

우선 농도란 '영상 전체가 밝고 어두운 정도'를 뜻하며, 디지털 영상으로 치면 픽셀의 값과 비슷한 개념이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이 농도가 모여서 영상을 형성하게 되죠. 각 부분의 농도 차이에 따라 대조도가 형성되고 그 분포에 따라 우리가 육안으로 식별 가능한 영상이 되는 겁니다. 그렇기 때문에 양질의 영상을 위해서는 적당한 농도가 유지되어야 하나, 농도만으로 영상의 질을 평가하진 않습니다. 대조도, 선예도, 입상성 등 다른 특징들도 적절하게 유지되어야 하죠.

(그런 부분에 대해서는 다음에 다루도록 하겠습니다)

 

이러한 농도는 log(입사광/투과광)의 식을 따릅니다. 방사선이 투과하면서 필름이 흑화[각주:1]된 정도를 뜻한다고 할 수 있죠. 

 

수식적으로 log(입사광/투과광) 의 식은 log(불투과도)와 동일합니다. 그 관계식에 대한 것은 아래의 표와 같습니다.

 

마지막으로, 농도는 노광[각주:2]된 방사선의 양과 밀접한 관계가 있습니다. 그 관계는 특성곡선을 통해 잘 나타납니다.

특성곡선은 허터와 드리필드가 완성하여 H-D 곡선이라고도 하는데, 가로축은 log E이고 세로축은 농도를 나타냅니다. 가로축을 대수(log)로 이용하는 이유는, E를 그대로 사용할 경우 숫자가 너무 커져서 그래프가 좌우로만 너무 길어질 것이기 때문입니다.

이러한 특성곡선은 단순히 노광량과 농도 외에도 많은 특징들을 내포하고 있는데, 이를 특성치라고 합니다. 이러한 특성치에 대해서는 다음 포스팅에서, 그리고 특성곡선에서 알 수 있는 필름 대조도를 포함한 대조로에 대해서는 다다음 포스팅에서 소개하도록 하겠습니다.

 

 

  1. x선이 필름과 작용하여 (가시적으로 볼 수 있는) 금속 은이 집적되는 것 [본문으로]
  2. 빛 또는 방사선에 노출 [본문으로]

설정

트랙백

댓글

영상과 방사선 영상

오늘은 영상방사선 영상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방사선 영상에 대해 알기 위해서는 영상의 기본개념을 먼저 알아야 합니다. 방사선을 사용한다는 차이점이 있기는 하지만, 방사선 영상이 '영상'의 개념 내에서 존재하기 때문이죠.

 

 

 

 

일상에서 보기 힘든 방사선 영상에 더불어 어디서든 쉽게 접할 수 있는 TV영상까지 모두를 포괄하는 뜻입니다.

 

 

 

임의의 점(fixel)에서의 값의 크기는 영상의 밝기를 나타냅니다.

(일반 영상에서는 밝기를 나타내지만, 무채색 뿐인 방사선 영상에서는 회색도를 나타냄)

 

 

 

(위 그림은 연출일 뿐 방사성 영상을 일반 카메라로 촬영하진 않습니다.)

 

 

+) 감약이란 방사선이 물질을 지나면서 그 세기가 약해지는 것을 뜻하는데요, 나중에 다시 다루게 되면 이 글에 링크를 걸도록 하겠습니다.

 

다음에는 아날로그 영상디지털 영상에 대해서 소개하도록 하겠습니다.

아날로그 영상과 디지털 영상

'방사선과학 > 의료 영상 정보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표적경사각과 양극 힐 효과  (1) 2017.11.08
실초점과 실효초점  (1) 2017.11.07
X선관 (X-ray Tube)  (1) 2017.11.06
디지털화  (0) 2017.10.30
아날로그 영상과 디지털 영상  (0) 2017.10.29

설정

트랙백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