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초점과 실효초점

안녕하세요? 오늘은 실초점실효초점에 대해 포스팅해보려 합니다.

 

 

실초점과 실효초점에 대해서 알아보기 전에 초점의 정의부터 보도록 하겠습니다.

▲초점의 정의

 

 

그렇다면 X선 진단에서 우리가 사용하는 초점의 종류는 무엇이 있을까요.

▲초점의 종류 

 

 

개중에 실초점에 대한 소개를 먼저 드리도록 하겠습니다.

▲실초점

 

실초점이란 음극에서 발생된 전자가 타겟에 부딪히는 면적을 말하는데요,

실초점은 필라멘트 전면으로 방출되는 초점

측면 방출의 부초점이 있습니다.

 

p.s.방출된 전자들은 같은 음전하(-)를 띄기 때문에 반발력을 지녀 퍼지는데 이를 집속통이 모아주며,

이때 생기는 초점이 바로 부초점입니다.

 

 

▲실초점 크기 영향 인자

 

실초점의 크기가 커질수록 내열력이 증가하므로, 실초점 크기 영향인자 또한 중요합니다.

 

 

그렇다면 실효초점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실초점과 실효초점 

 

실효초점은 X선 영상 형성에 직접적인 영향을 줍니다.

실효초점의 크기에 따라 영상의 질이 달라지기 때문이죠.

 

따라서 실효초점의 크기를 잘 조절해 줄 필요가 있습니다.

 

 

 그 내용에 대해서는 다음 포스트인 '양극 힐 효과'에서 소개하도록 하겠습니다.

 

이 포스팅을 읽기 전에..

x선관(X-ray Tube)

 

이 포스팅과 더불어..

양극 힐 효과(Anode Heel Effect)

'방사선과학 > 의료 영상 정보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X선의 발생  (0) 2017.11.14
표적경사각과 양극 힐 효과  (1) 2017.11.08
X선관 (X-ray Tube)  (1) 2017.11.06
디지털화  (0) 2017.10.30
아날로그 영상과 디지털 영상  (0) 2017.10.29

설정

트랙백

댓글

[정기후원] 메디피스 정기후원

일상 다반사/[봉사] 2017. 11. 7. 08:00

지난 7월에 부산대학교 지하철역에서 여자친구를 기다리던 중에... 메디피스에서 하던 캠페인에 관심을 가져서 듣게 되었습니다.

 

그날을 계기로 큰 금액은 아니지만 정기후원을 하게 되었고, 8월, 9월, 10월 그리고 11월까지 4번째 후원이 되었네요.

 

 

 

대학생이고 저도 용돈을 받아서 생활하는 터라... 큰 금액은 아니고 소액 후원을 시작했어요.

 

생에 첫 후원인지라 생소하고 또 신기했죠.

 

그래서 오늘 준비한 포스팅은 메디피스 정기후원 방법입니다.

 

저 같은 경우는 오프라인 후원이었고, 온라인 후원 방법에 대해 소개하겠습니다.

메디피스 홈페이지

일단 메디피스 홈페이지에 접속을 합니다.

 

 

그러면 좌측 하단에 이런 배너가 보일 겁니다.

 

 

개중 정기후원을 클릭하시면 뜨는 창을 모두 작성해 주시면 됩니다.

*(별표)는 필수사항이에요. 꼭 작성해 주세요.

 

이메일과 전화번호를 입력해서 비밀번호 찾기에 이용하기도 하고, 정기 후원에 대한 추가적인 정보를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후원은 꼭 큰 금액이 아니라도 괜찮아요.

 우리가 과자 한 번 먹을 것을 아껴서 후원하는 것이 어쩌면 그들에게는 하루의 식사를 해결할 수 있는 큰 금액일지도 모르니까요.

 

 

 

설정

트랙백

댓글

X선관 (X-ray Tube)

안녕하세요?

오늘은 X선관(X-ray tube)에 대해 간단히 설명을 해드리려 해요.

 

X선관은 X-ray를 발생시키는 유리관입니다.

 

 

설명에 있듯이, 구성은 크게 음극양극으로(총 2극) 돼 있습니다.

 

음극에서 전자를 발생시키고 이 전자가 양극과 충돌하면서 X선이 발생됩니다.

 

(유리관 내를 고진공도로 유지하는 이유는 '공기가 생성된 전자가 진행하는 것을 방해하기 때문'입니다.)

 

X선관의 그림으로 살펴보겠습니다.

▲회전 양극 X선관

(사진 출처 : 방사선과학개론, 방사선과학연구회, 청구문화사, p 108 )

 

1. 양극

2. 회전

3. 양극 회전자

4.음극

5.유리관

 

 

앞서 설명을 드린 양극, 음극 그리고 유리관이 그림에 나타나 있습니다.

(이외에 회전자, 회전축은 사진 속의 X 선관이 '회전 양극 X선관'이기 때문입니다.)

 

 

그렇다면 양극과 음극에 대해 소개하겠습니다.

전자빔이 양극에 충돌 시 모든 에너지가 X선이 되는 것은 아닙니다.

99%는 열이 되고 단 1%만이 X선이 되죠.

그렇기 때문에 양극은 용융점[각주:1]이 높은 물질을 이용해야 합니다.

 

 

그리고 앞서 말씀을 드린 '회전 양극 X선관'은 양극이 열을 잘 견디게 하기 위해 고안된 것입니다.

 

 

집속통이 전자를 집속시키는 원리는 전하에 있습니다. 전자 빔은 모두 음전하(-)를 띄기 때문에 서로 반발하는데, 이를 아주 강한 음극인 집속통으로 모아주는 것입니다.

 

 

지금까지 X선관에 대해 간단하게 소개해 드렸습니다.

X선관에 대해 소개를 드리면, 초점양극 힐 효과에 대해 설명을 해드려야 할텐데, 차례로 포스팅하도록 하겠습니다.

 

초점

 

양극 힐 효과

 

  1. 물질이 고체에서 액체로 상태변화가 일어날 때의 온도 [본문으로]

'방사선과학 > 의료 영상 정보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표적경사각과 양극 힐 효과  (1) 2017.11.08
실초점과 실효초점  (1) 2017.11.07
디지털화  (0) 2017.10.30
아날로그 영상과 디지털 영상  (0) 2017.10.29
영상과 방사선 영상  (0) 2017.10.28

설정

트랙백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