X선 발생의 직접인자 (관전압)

안녕하세요? 오늘은 X선 발생의 직접인자관전압에 대해 더 알아볼까 합니다.

 

 

관전압의 정의는 일전에 소개한 내용과 동일합니다.

다만 이번 시간에 중점적으로 볼 내용은, 관전압이 어느 인자와 직접적인 연관이 있는지(X선 선질)와 관전압의 변화가 그에 어떤 영향을 주는지입니다. 

 

우선 관전압은 X선의 선질과 직접적인 연관이 있는 만큼, 관전압의 증가는 곧 X선질의 증가를 뜻합니다.

(그리고 선질이 증가함에 따라 부가적으로 X선량 또한 증가하죠)

선질의 변화는 곧 X선의 투과력 변화로 이어지며, 이는 그레이 스케일과 연동됩니다.

 

투과력은 X선 사진 농도를 결정 짓는 중요한 요소이고, 이것이 그레이 스케일로 표현됩니다.

 

끝으로 관전압과 관련된 용어와 법칙은 다음과 같은 것이 있습니다.

최소 관전압이란, X선이 유효한 사진농도를 내기 위해 필요한 최소한의 관전압 값이며, 관전압을 15% 변화 시키면 사진 농도값이 약 2배, 1/2배가 된다는 '관전압 15%법칙'도 함께 소개되어 있습니다.

 

여기까지 X선 발생의 직접인자관전압에 대하여 보다 더 자세히 알아보았습니다.

 

 다음번에는 X선 발생의 직접인자 중 다른 하나인 관전류에 대해 조금 더 자세히 소개하도록 하겠습니다.

관전류량(관전류, 조사시간)

 

이 포스팅을 보기 전에..

X선 발생의 직접인자

X선 스펙트럼

 

설정

트랙백

댓글

연속 스펙트럼과 선 스펙트럼 (X선 스펙트럼)

오늘 다루게 될 내용은 연속 스펙트럼선 스펙트럼입니다.

 

각 용어의 정의는 다음과 같습니다.

 

 

▲태양광선의 스펙트럼

(사진 출처 : 사이언스올 과학백과사전 「연속 스펙트럼」)

 

X선의 스펙트럼은 다음과 같습니다.

각 영역의 색깔(파장)만을 나타낸 일반적인 스펙트럼과 달리, 에너지와 그에 따른 양을 나타내는 광자량 또한 스펙트럼에 반영되어 있습니다.

 

X선 스펙트럼은 위와 같이 각각 연속 스펙트럼과 선 스펙트럼에 분포합니다.

 

다음에는 난 포스팅에서 다 못 다룬 X선 발생의 직접인자에 대해 보충하여 다루어 보려고 합니다.

관전압과 관전류의 변화에 따라 X선 스펙트럼이 어떻게 변하는지를 중점으로 다루도록 하겠습니다.

 

함께 보면 좋을 내용

X선의 발생

 

설정

트랙백

댓글

X선 발생의 직접인자

오늘은 x선 발생의 직접인자에 대해 소개하려 합니다.

 

 

x선 발생의 직접인자라 하면, x선이 발생되기까지 직접적으로 영향을 주는 녀석들을 말하는데 그 종류로는 4가지가 있습니다.

 

우선 관전압부터 차례로 보도록 하겠습니다.

관전압은 X선관의 양극에 걸린 전압입니다.

 

X선관 속에 있는 전류를 흐르게 하므로 관전압을 인가하는 것을, Slope를 준다고 하기도 합니다.

 

또한 이는 X선의 선질[각주:1]과 투과력[각주:2]에 직접적인 관계가 있습니다.

 

다음은 관전류입니다.

관전류란, X선 양단에 흐르는 전류를 뜻하며, X선의 선량에 직접적으로 관여합니다.

 

관전류와 X선량과의 관계는 다음과 같습니다.

▲관전류와 X선량의 관계

 

위의 그래프와 같이 관전류가 증가함에 따라 X선량도 함께 증가됨을 알 수 있습니다.

 

다음은 조사시간입니다.

조사시간은 이름 그대로 X선을 조사하는(X선에 노출되는) 시간을 뜻합니다.

 

조사시간은 그 자체로 쓰이지 않고, 관전류와 곱을 하여 관전류의 총량을 나타내는 데에 쓰입니다.

관전류량[mAs]

 

끝으로 FFD 즉, 초점 필름 간 거리를 보겠습니다.

정의는 위와 같고, FFD는 선예도[각주:3]나 농도[각주:4]에 영향을 줍니다.

 

(선예도와 농도는 추후에 포스팅하도록 하겠습니다.)

 

FFD에 대해 쉽게 이해하기 위해서는 그림으로 이를 볼 필요가 있습니다.

▲X선 영상의 기하학적 관계

 

이번 포스트에서는 X선 발생의 직접인자에 대해 다루어 보았습니다.

간단하게 다룬 만큼, 추후에 추가적인 포스팅이 필요할 것으로 보입니다. 그러나 이번 포스팅의 보충에 앞서 다음 포스팅에서는 '연속 스펙트럼과 선 스펙트럼'에 대하여 다루어 보도록 하겠습니다.

 

연속 스펙트럼과 선 스펙트럼

 

이 포스팅을 보기 전에..

X선의 발생

 

관전압에 대해 더 알아보기

X선 발생의 직접인자 (관전압)

 

 

  1. 방사선의 종류 및 그 에너지, 해당 포스트에서는 X선에 대해서만 다루고 있으므로 X선의 에너지만을 뜻한다 [본문으로]
  2. 방사선이 물질을 투과할 수 있는 능력 [본문으로]
  3. 화상이 선명하며 이미지가 뚜렷한 정도 [본문으로]
  4. 사진 농도, 투과 농도 [본문으로]

설정

트랙백

댓글